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
청년내일채움공제 계산기
청년내일채움공제란? 청년과 기업 모두 혜택받는 정부 지원 제도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청년의 장기근속과 중소기업의 인력난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운영하는 청년 고용지원 제도입니다. 쉽게 말해, 청년이 중소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하여 일정 기간 근무하면 청년·기업·정부가 함께 적립한 금액을 만기 시 받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2025년 기준, 2년형으로 운영되며, 청년이 2년간 재직하면 최대 1,200만 원의 만기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이 중 본인이 납입하는 금액은 **총 300만 원(월 12.5만 원씩 24개월)**이며, 나머지는 정부와 기업이 지원합니다. 단순히 지원금만 지급하는 정책이 아니라, 청년의 근속 유도와 자산 형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전략입니다.
📌 핵심 요약
-
대상: 만 15~34세 이하 중소기업 정규직 취업자
-
기간: 2년형
-
본인 납입: 300만 원
-
정부+기업 지원: 900만 원
-
총 수령액: 최대 1,200만 원
👉 청년이 2년만 일하면 목돈 1,200만 원! 놓치기 아까운 기회입니다.
2025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 자격 조건
공제 신청 전, 반드시 청년과 기업 모두의 자격 요건을 확인해야 합니다. 아래는 2025년 기준으로 정리한 주요 조건입니다.
🎓 청년 가입 요건
-
연령: 만 15세~34세 이하(군복무자 최대 만 39세까지 연장 가능)
-
고용형태: 중소기업 정규직 첫 취업자 또는 이전 공제 미가입자
-
가입 시점: 정규직 채용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함
-
소득 요건: 월 300만 원(연 3,600만 원) 이하
-
고용보험 가입 이력: 최근 6개월 내 고용보험 미가입자, 혹은 가입 이력 3개월 이하
🏢 기업 자격 요건
-
중소기업기본법상 중소·중견기업
-
상시근로자 수 5인 이상
-
4대 보험 가입 필수
-
청년 1인당 기업부담금(400만 원) 납입 가능해야 함
주의할 점: 청년과 기업 모두 자격을 갖춰야만 신청이 가능하며, 중도 이직 시 공제 유지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방법 (2025년 최신 안내)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워크넷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아래 절차에 따라 준비하면 어렵지 않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절차 한눈에 보기
-
워크넷 구직 등록 및 이력서 작성
-
취업 및 정규직 채용 후 6개월 이내 신청
-
청년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에서 가입 신청
-
청년, 기업, 운영기관 모두 전자약정 체결
-
매월 청년 본인 납입금 납부 및 기업 부담금 납부
-
2년 후 만기 수령
필요 서류
-
재직증명서
-
근로계약서
-
4대보험 가입 확인서
-
통장 사본
-
주민등록등본
💡 TIP: 워크넷 이력서 미작성, 운영기관 전자약정 누락 등으로 인한 탈락 사례가 많으니 신청 절차를 꼼꼼히 체크해야 합니다.
✅ 청년내일채움공제 혜택 요약 및 실제 수령금
가장 큰 매력은 당연히 2년 후 수령 가능한 목돈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돈만 주는 것이 아닙니다. 다음과 같은 간접 혜택도 존재합니다.
💰 직접적 혜택
-
총 1,200만 원 수령 가능 (청년 300 + 기업 400 + 정부 500)
-
비과세 적용 → 실수령액 전액 수령 가능
-
자산 형성 기회 제공
🎓 간접적 혜택
-
장기근속 유도 및 이직 방지
-
고용보험 가입으로 경력 인정
-
장기근속 인센티브로 향후 연봉 협상 유리
-
정부 일자리 연계 지원 서비스 혜택 가능
👉 꿀팁: 공제 수령 후 퇴사하면 퇴직금과 별도로 목돈+퇴직금 동시 수령도 가능합니다.